목록정원수 (7)
소소리바람이 불면~

황금병꽃나무 Weigela ‘Looymansii Aurea’ 인동과 잎이 황금색이고 꽃이 길다란 병모양으로 생겼다고 하여 황금병꽃나무라 한다. 꽃은 진분홍색으로 봄(5~6월)에 피며 여름에는 강한 햇빛 때문에 잎이 노란색에서 녹색으로 변한다. 공원이나 아파트단지 안에 많이 심는다. 아파트단지안에서 잎이 노랑색으로 화려한 병꽃나무를 보았다. 요즘 이렇게 노랑색 잎을 '황금~'으로 많이 부르기에 황금병꽃나무를 검색하니 인터넷에 니온다. 정말 황금병꽃나무네. 원예종으로 화려한 노랑색 잎과 진분홍 꽃이 어울려 훌륭한 정원수로 인기가 있다고~

매화말발도리 Deutzia uniflora 수국과 황해도 및 강원도 북부 이남 바위틈에서 자라는 잎지는 넓은잎 떨기나무. 내한성과 내음성, 내건성이 강하며 양지나 음지를 가리지 않고 큰 포기를 이루어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타원형으로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별모양의 털이 있다. 꽃은 4월 초 ~ 6월 초에 전년도 가지 옆면에서 1 ~ 3개씩 단일꽃차례로 피며 (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는 금년의 새가지에 꽃이 핌) 간혹 꽃밑에 1~2개의 잎이 달리기도 한다. 작은꽃대엔 별모양의 털이 빽빽하며, 꽃받침통은 씨방에 붙어 있다. 꽃받침조각은 털이 거의 없고 꽃잎은 5장으로 흰색이며 수술은 10개로 수술대 양쪽에 날개가 있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매화 대..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콩과 우리나라, 러시아, 일본, 중국에 사는 잎지는 넓은잎 큰키나무. 내한성, 내음성, 내조성, 내건성이 강하며 각종 공해에도 잘 견딘다. 산록, 계곡부의 토심 깊은 곳에서 잘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으로 작은잎은 9 ~ 11개이며 타원형 또는 긴 달걀형이며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총상꽃차례 또는 원뿔모양꽃차례로 위를 향하고 가지 끝에 달리며, 7월에 백색으로 핀다. 목재의 가장자리(변재)는 황색이고 가운데(심재)는 거의 흑색으로 무늬가 아름답고 잘썩지 않는 특징이 있다. 목재는 기구재, 가구재, 완구재, 공예재 등으로 쓰인다. 나무는 정원수, 공원수, 조림용, 밀원수로 이용할 수 있다. 자생지와 자생지외 지역에 대한 꾸준한 관리와 보호가 필요하다.

꽝꽝나무 Ilex crenata 감탕나무과 주로 남부지방 해안에서 자라는 늘푸른 떨기나무로 암수 딴그루이다. 잎은 타원형으로 두텁고 작으며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가 보인다. 회양목과 비슷하나 잎이 어긋나고 가지가 회색이어서 구분된다. 꽃은 초여름에 흰색 작은꽃이 피며 수꽃은 여러개가 뭉쳐서 암꽃은 1개씩 달린다. 열매는 공모양으로 10월경 까맣게 익는다. 공해나 염해에 강해 어디서든 잘자란다. 나무모양을 다듬기 쉬워 정원수나 생울타리용으로 많이 심는다. 잎이 두터워 불에 태울 때 '꽝꽝' 소리가 난다하여 꽝꽝나무라 부른다.

금목서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물푸레나무과 중국원산의 늘푸른넓은잎 떨기나무. 내한성이 약해 남부지방(따뜻한 곳)에서 주로 심는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 측맥이 어느 정도 뚜렷하게 도드라진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9~10월에 우상모양꽃차례로 꽃대가 있는 등황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두터운 육질화로 짙은 향기가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4개로 갈라지고 꽃부리도 4개로 갈라지며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가지에 다닥다닥 붙은 열매가 겨울을 나고 다음해 여름·가을을 지나 다시꽃이 필 때쯤 열매가 익는다. 꽃이 귀한 초겨울을 즐길 수 있다. 겨우내 푸른 잎과 자주색 열매, 황홀한 향기를..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수국과 일본원산의 잎지는 넓은잎 떨기나무. 잎은 마주나거나 3개씩 돌려나며 타원형이다. 잎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7 ~ 8월에 가지 끝에 큰 원뿔모양꽃차례가 달리고, 무성꽃과 양성꽃이 한 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백색이지만 약간 붉은빛이 돌기도 한다. 정원수나 관상용, 경계식재용으로 이용하며 목재는 나무못(목정)이나 세공용으로 쓰이며 나무껍질은 제지용의 풀을 만드는 데 쓰인다. 아파트 정원을 걷다가 주먹만한 꽃이삭을 달고 있는 나무수국을 보았다. 가느다란 가지 끝에 매달린 커단 꽃이삭이 바람에 낭창인다.
미국산딸나무 cornus florida 층층나무과 산딸나무는 세계에 약 40여 종이 분포하며 미국에 14종, 한국에 3종이 등록되어 있다. 미국산딸나무는 학명 프로리다(조지아 남쪽, 남대서양 연안)에서 알 수 있듯 조지아를 포함한 미국 동부지역에서 캐나다에 걸쳐 자생하는 갈잎떨기 소교목이다. 봄에는 아름다운 꽃, 여름에는 잎, 가을에는 붉은 단풍, 겨울에는 열매까지 감상 가치가 뛰어나 정원수로 사랑받는 북미 원산의 나무이다. 봄에 꽃분홍색 예쁜 꽃받침으로 나를 유혹하던 미국(꽃)산딸나무가 열매를 매끈하게 드러냈다. 우리나라 산딸나무 열매가 긴 꽃자루를 아래로 내려뜨려 딸기모양으로 달려 있는것과 다르게 미국산딸나무는 자루없이 꽃자리 그곳에 꼿꼿이 달려있다. 산딸나무 열매가 딸기같다면 미국산딸나무 열매는 매..